인간론

5. 막스 베버의 인간론

이효범 2021. 12. 6. 06:59

o 안녕하십니까? 백신으로 이제 코로나가 끝나는가 싶었는데 더욱 강력한 오미크론의 등장으로, 세계는 다시 한 번 공포 분위기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런 전염병으로 떨고 있는 인간은 무엇이며, 또한 나는 도대체 누구입니까? 20년 전에 출판한 끝없는 물음, 인간이라는 책을 수정보완하고 있습니다. 지난번에 보내드린 <1. 종교적 인간론>에 이어, <2. 사회과학적 인간론>을 보내드립니다. 2021126. 이효범드림

 

2. 사회과학적 인간론

 

5. 막스 베버Max Weber의 인간론

 

자본주의의 정신의 발달은 가장 간명하게는

합리주의의 총괄적 발전의 부분 현상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또 궁극적인 인생 문제에 대한 합리주의의 근본적 입장에서

추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5-1. 문화와 인간 유형

 

베버는 칼 마르크스와 함께 사회학에서 가장 영향력을 있는 학자이다. 한때 좌파의 마르크스와 우파의 베버라고 불릴 정도였다. 이들은 서구에서 기원한 현대문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마르크스는 자본가에 의한 노동자의 착취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고, 베버는 관료제적 질서의 억압을 문제 삼았다. 마르크스는 ?자본론?을 썼고,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썼다.

베버는 비교종교사회학 시론이라는 부제가 붙은 세계종교의 경제윤리Die Wirtschaftsethik der Weltreligionen라는 논문에서, 종교를 중심으로 세계의 모든 문화 영역들에 눈을 돌려 다양한 문화 영역 간에 나타나는 상관과 괴리의 문제를 연구했다. 그는 비교 문화 연구를 통해 역사적이고 사회적 개체라고 불리는 여러 현상이 제각기 전혀 다른 개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러한 개성적인 여러 현상을 상호 비교하고, 그 속에서 제각기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구성 요인을 추출하여, 그것을 법칙론적 지식으로 파악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법칙론적 지식을 구사하면서도 다양한 역사적 개체 간에 나타나는 동일성과 차이를 분류하고, 최후에는 비교를 통해 역사적 개체가 개체다운 이유를 학문적으로 탐구하려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베버는 역사적 개체란 다양한 법칙의 조합으로 성립되는 현상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역사적 개체의 내부에 있어서 여러 법칙의 조합 방식은 역사적 개체마다 다르다. 단순히 그 조합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하나하나의 법칙이 관철되는 정도도 어느 것은 중요하고 또 어느 것은 부차적이라는 식으로 그 조합 방식이 전혀 다르다. 즉 역사적 개체란 다양한 법칙의 독자적인 조합에서 생겨났다. 더욱이 그 법칙의 조합 방식이 독자적이라는 점에서 제각기 비교를 초월하는 개성적인 사실이 된다. 비교 연구를 통해 이런 점이 점점 인식되어 간다는 것이다.

이런 베버의 연구를 인간론에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각 문화권은 개성을 구비하고 역사적 개체로서의 문화 체계를 갖고 있으며, 그것에 따라 어떤 독자적인 지배적 인간 유형이 출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교 문화권에서 출현한 지배적 인간 유형은 군자君子이다. 군자는 높은 도덕적 성품을 가진 교양인이다. 이에 반해 서구 자본주의에서 출현한 지배적 인간 유형은 고도의 관료체제를 수행할 수 있는 합리적 관리인이다.

그러한 개성적인 문화 내지 인간 유형을 사회과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베버가 말한 역사적 개체를 성립시키고 있는 다양한 법칙을 발견해야 한다. 다음으로 그러한 여러 법칙의 조합이나 각각의 법칙을 관철하는 정도가 역사적 개체의 다른 경우와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해야 한다. 그러면서 그 문화 체계 또는 인간 유형이 역사적 개체인 까닭을 분명히 밝혀가면서 문화와 인간 유형의 진실된 모습을 추구해야 한다.

베버에 따르면 각 문화권은 각각의 독자적인 인간 유형을 갖고 있다. 그러면 근대 초기 서유럽에서 자본주의 경제가 자생적으로 발생하던 때의 인간 유형은 어떠한가? 그것을 그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Die Protestantische Ethik und der Geist des Kapitalismus에서 논하고 있다.

'인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 자본주의의 정신  (0) 2021.12.08
5-2. 루오 브렌티노의 비판  (0) 2021.12.07
4-2-4. 인간에 대한 부정과 긍정  (0) 2021.11.18
4-2-3. 새사람  (0) 2021.11.17
4-2-2. 바울  (0) 202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