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범의 세종에서 보내는 편지

세종에서 보내는 편지(4, 발생학적, 합성, 분할의 오류)

이효범 2021. 9. 9. 06:40

o 세종에서 보내는 편지(4, 발생학적, 합성, 분할의 오류)

 

구녕 이효범

 

3. 재료적 오류

 

재료적 오류는 불충분한 자료로부터 어떤 결론을 도출하거나, 자료 자체는 불충분하지 않으나 그 재료에 대한 해석이나 판단을 잘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이다.

 

3-1. 발생학적 오류(genetic fallacy)

 

어떤 이념(사상, 이론)이 어떤 기원(원천)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그 이념은 그것을 발생시킨 기원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추리하는 오류이다. 예를 들어 종교란 일종의 주술(마술)에 지나지 않아. 원시종교가 주술(마술)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거든.’ 또는 분석철학은 영미제국주의의 철학이다. 따라서 제국주의적 사상에 물들기를 원하지 않는 한 분석철학을 배워서는 안 된다.’라고 말한다면 모두 발생학적 오류에 빠지는 것이다. 발생학적 기원이 나쁘다고 해서 그 기원에서 유래한 것도 나쁘다고 한다면,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이 피는 일은 없을 것이고, 부자 집 자손만이 항상 부자가 될 것이다.

 

3-2. 합성(결합)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

 

어떤 전체가 부분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그 전체 자체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오류이다. (H2O)이 수소와 산소로 합성되었다고 해서, 수소와 산소의 모든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별적인 원소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 원소들의 집합도 그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추리하는 오류이다. 지성인 집단이 지성인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서 언제나 지성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1932년 미국의 신학자 라인홀드 니부어(Karl Paul Reinhold Niebuhr, 1892-1971)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라는 책을 발간했다. 이 책에서 니부어는 개인적으로는 도덕적인 사람들도 사회내의 어느 집단에 속하면 집단적 이기주의자로 변모한다.”라고 주장했다. 개인적으로 볼 때 인간은 자기 자신의 이익을 희생해가면서 타인의 이익을 고려할 수도 있고, 때로는 자신보다 다른 사람의 이익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이다. 이런 도덕심은 물론 교육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는 종종 민족적, 계급적, 인종적 충동이나 집단적 이기심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사회학자들이나 교육자들은 인간의 합리성을 고양시킴으로써 집단적 이기심을 견제할 수 있다고 낙관하고, 종교적 이상주의자들은 양심에 호소하여 자선을 베풀게 함으로써 사회 모순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니부어는 이들이 사회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벌어지는 자선의 문제와 경제적 집단 사이의 역할관계를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집단 간의 관계는 윤리적이기 보다 힘의 역학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정치적 관계이며 따라서 사회집단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의 강제성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특권계급의 집단적 이기심으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부정의는 조정이나 타협에 의해 해결될 수는 없다고 역설한다. 영화 대부의 비토 코를레오네(말론 브란도)는 가족 안에서는 인자한 아버지이지만, 마피아 세계에서는 잔인한 살인자이다. 이처럼 사적인 영역에서는 도덕적인 사람들도 집단 속에서는 집단의 논리에 따라 이기적으로 행동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부분이 참이라고 해서, 그 부분의 합성인 전체도 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대학에 유명한 구절이 있다. “몸이 가다듬어진 뒤에 집안이 바로잡히고, 집안이 바로잡힌 뒤에 나라가 바르게 다스려지고, 나라가 바르게 다스려진 뒤에 온 세상이 올바르게 된다.(身脩以後 家齊 家齊以後 國治 國治以後 天下平)” 그러나 논리적으로 볼 때, 모든 가족들이 수신(修身)한다고 해서 필연적으로 집안이 바로잡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을 수신(修身)하는 것을 전제로 해서 제가(齊家)라는 결론을 추론한다면, 함성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

 

3-3. 분할의 오류(fallacy of division)

 

분할의 오류는 결함의 오류를 뒤집은 오류이다. 즉 어떤 집합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그 집합의 요소들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오류이다. 예컨대 미국은 아주 부유한 나라이다라는 전제로부터 미국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부유하다고 추리한다면 분할의 오류에 빠진다. 이와 유사한 예로는 러시아는 공산주의 국가이다라는 말은 그 정부 체제가 공산주의이고, 각 학교에서 가르치는 공식 이데올로기가 공산주의이며, 출판된 책이나 취재 기사에 공산주의가 널리 스며들어 있다 등등을 의미하는데, 이 말에서 모든 러시아 국민 개개인이 공산주의자라고 한다면, 이 추리는 분할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Real Madrid)가 최고의 프로축구팀이라 해도, 모든 선수들 하나 하나가 얼마든지 최고의 베스트는 아닐 수 있다. 집합과 원소 이외에, 전체가 어떤 성질을 가졌기 때문에 그것을 이루는 부분도 같은 성질을 가졌다고 추리하는 것도 분할의 오류이다. 어떤 기계가 무겁고 비싸다고 해서 그것의 부품도 무겁고 비싼 것은 아니다. 어떤 부품은 거꾸로 얼마든지 가볍고 쌀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