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PMI
드 보노의 창의적(수평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또 다른 기법은 인지연구법(CoRT, Cognitive Research Trust)이다. 이 인지연구법 안에는 여러 가지 구체적 기법이 있는데, 그것들은 약자로 표시된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구체적 기법은 PMI이다. 이것은 Plus(긍정적), Minus(부정적), Interesting(흥미)의 약자이다.
PMI는 우리들이 어떤 일에 대하여 처음 생각한 방향으로만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을 극복하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학교가 24시간 개방이 된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을 받고 그것에 대하여 생각해본다고 하자. 우리들이 생각한 목록을 보면 대부분 부정적이거나 아니면 긍정적인 것들이 많다. 24시간 개방제에 대하여 그것은 좋은 일이다 라는 첫 인상을 가진 사람은 그것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만을 생각해 낼 것이고, 그게 말이 되느냐 라고 생각한 사람은 그것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만을 생각해 낼 것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은 어떤 문제나 사태에 대하여 다면적으로 생각하지 못하고 한쪽으로만 생각하기 마련이다.
PMI 사고법에서는 학교 24시간 운영제가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효과까지도 생각하여 결과를 예상한다. 그리고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고 단지 ‘흥미 있는’ 결과까지도 예상한다. 이 때 흥미 있는 일에는 보통 ‘개방한다고 하는 것은 무슨 뜻인가?’ ‘이 때의 학교는 종전의 학교와 같이 24시간 수업을 하는가? 아니면 다른 역할을 하는 것인가?’ ‘방학은 어떻게 할 것인가’하는 것과 같은 물음의 형태를 띠는 일이 많다. PMI 사고법에 의하여 어떤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넓혀지면 그 상황에 대한 그들의 사고는 더 효과적인 것으로 될 것이다.
'이효범의 세종에서 보내는 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2. 계류기구법 (0) | 2022.07.05 |
---|---|
6-11. 레일형 사고법 (0) | 2022.07.04 |
6-9. 시스템적 사고 (0) | 2022.07.01 |
6-8. 트리즈 (0) | 2022.06.30 |
6-7. 6가지 사고 모자 (0)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