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속에 나오는 룻은 훌륭한 효부였다. 베들레헴에 살던 나오미는 흉년이 들자 모압 지방으로 남편과 함께 이주했으나 남편은 죽고 두 아들은 각각 모압 여자와 결혼했다. 그러나 어느 날 두 아들마저 죽게 되자 나오미는 청상과부가 된 두 며느리를 친정으로 돌려보내고 자신은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큰며느리 오르바는 나오미의 말을 듣고 떠났으나, 작은 며느리인 룻은 끝내 떠나기를 거절하며 간청하였다.
“나에게 어머니를 떠나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돌아가라 강권하지 마옵소서. 어머니께서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니가 머무시는 곳에 나도 머물겠나이다. 어머니가 죽는 곳에서 나도 죽어 장사될 것이라, 만일 내가 죽는 일 외로 어머니를 떠나면 여호와께서 내게 벌을 내리시고 더 내리시기를 원하나이다.” 이방인인 모압 민족의 어린 여자로서 유다 베들레헴 사람인 시어머니를 이처럼 극진히 섬기고자 한 것은 시어머니에 대한 효성뿐만 아니라 죽은 남편 말론에 대한 사랑의 표현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보리 추수를 시작할 무렵에 베들레헴에 이르렀고, 룻은 밭에 나가 이삭을 주워서 시어머니를 봉양하였다.
나오미는 먼 친척이 되는 보아스의 밭으로 며느리를 보냈고, 대부호인 농장주인 보아스는 룻의 효성에 감동하여 하인에게 곡식을 거둘 때 일부러 이삭을 좀 더 남겨 놓도록 일렀다. 그녀가 자신의 밭에서 좀 더 많은 이삭을 주울 수 있도록 은혜를 베푼 것이다.
“네 남편이 죽은 후로 네가 시어머니에게 행한 모든 것과 네 부모와 고국을 떠나 전에 알지 못하던 백성에게로 온 일이 내게 분명히 들렸느니라. 여호와께서 네 행한 일을 보응하시기를 우려하노라.” 보아스의 칭송대로 효부 룻은 축복 받은 여인이었다. 시어머니 나오미도 착하고 아름다운 며느리를 위하여 꾀를 내었으니 그것은 보아스의 잠자리로 며느리를 보내는 일이었다. 룻은 “어머니의 말씀대로 내가 다 행하리라.”하며 절대적인 순종을 표시했다. 마침내 보아스의 아내가 된 룻은 오벳을 낳아 사랑을 받고 축복까지 얻었다. 오벳의 아들은 이새, 이새의 아들이 그 유명한 다윗왕, 다윗의 후손이 바로 예수인 것이다.
'효도에 관한 좋은 문장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신세대 행동기준 (0) | 2021.06.19 |
---|---|
집회서의 효행 (0) | 2021.06.16 |
곽거의 효행 (0) | 2021.06.10 |
위정자의 통치 (0) | 2021.06.08 |
딸을 위한 제문 (0) | 202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