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장년의 한 부부가 도시의 변두리에서 조그마한 만두가게를 하고 있었습니다. 오시는 손님들 중에는 모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계셨는데, 매주 수요일 오후 3시엔 어김없이 만두가게에 오시는 겁니다. 보통은 할아버지가 먼저 와서 기다리지만 비가 오거나, 눈이 오거나, 날씨가 궂은 날이면 할머니가 먼저 와서 구석자리에 앉아 출입문을 바라보며, 초조하게 할아버지를 기다리곤 합니다. 두 분은 별 말 없이 서로를 마주 보다가 생각이 난 듯 상대방에게 만두를 권하다가 눈이 마주치면 슬픈 영화를 보고 있는 것처럼 눈물이 고이기도 했습니다. “대체 저 두 분은 어떤 사이일까?” 나는 만두를 빚고 있는 아내에게 속삭였습니다. “글쎄요. 부부가 아닐까?” “부부가 뭐 때문에 변두리 만두 가게에서 몰래 만날까?” “허긴 부부라면 저렇게 애절한 눈빛으로 서로를 바라보진 않겠지. 부부 같진 않아요.” “혹시 첫사랑이 아닐까요? 왜 그런 거 있잖아요. 서로 열렬히 사랑을 했었는데, 주위의 반대에 부딪혀 본의 아니게 해어졌다가, 몇 십 년 후에 우연히 만났어, 서로에게 가는 마음은 그대로인데 가정이 있으니 어쩌겠는가??” “그래서 이런 식으로 재회를 한단 말이지? 아주 소설을 써라.” 말은 그렇게 했지만 나는 아내의 상상이 맞는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서로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드러나는 따뜻한 눈빛이, 두 분이 아주 특별한 관계라는 걸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근데 저 할머니 어디 편찮으신 거 아니에요? 안색이 지난 번 보다 아주 못하신데요?” 아내 역시 두 노인한테 쏠리는 관심이 어쩔 수 없는지 걱정스러운 얼굴로 말했습니다. 그러고 보니까 오를 따라 할머니는 눈물을 자주 닦으며 어깨를 들먹거렸습니다. 두 노인은 만두를 그대로 놓은 채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할아버지는 돈을 지불하고 할머니의 어깨를 감싸 안고 나갔습니다. 우리는 두 분이 거리 모퉁이를 돌아서 갈 때까지 시선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곧 쓰러질 듯 휘청거리며 걷는 할머니를 어미 닭이 병아리 감싸 듯 감싸 안고 가는 할아버지, 두 노인의 모습이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대체 어떤 관계일까? 아내의 말대로 첫사랑일까? 사람은 늙어도 사랑은 늙지 않는 법이니까! 그럴 수도 있겠지! “어머, 비가 오네. 여보 빨리 솥뚜껑 닿아요.” 그러나 나는 솥뚜껑 닫을 생각보다는 두 노인의 걱정이 앞섰습니다. 우산도 없을 텐데.
다음 주 수요일에 오면 내가 먼저 말을 붙여 볼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다음 주도 그 다음 주도 할머니 할아버지는 우리 만두 가게에 나타나지 않는 겁니다. 처음엔 몹시 궁금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두 노인에 대한 생각이 묵은 사진첩의 낡은 사진처럼 빛바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 사람인가 봅니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은 또 금방 잊게 마련인가 봅니다. 그리고 두어 달이 지난 어느 수요일 날, 정확히 3시경에 할아버지가 나타났습니다. 좀 마르고 초췌하게 보였지만 영락없는 그 할아버지 였습니다. “오랜 만에 오셨네요.” 할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조금 웃어 보였습니다. “할머니도 곧 오시겠지요?” 할아버지는 고개를 가로저으며 “못~와~! 하늘나라에 갔어...” 하는 겁니다. 아내는 들고 있던 만두접시를 떨어뜨릴 만큼이나 놀랬습니다. 할아버지의 얘기를 듣고서 우리는 벌린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너무 기가 막혀서, 너무 안타까워서, 두 분은 부부인데 할아버지는 수원의 큰아들 집에, 할머니는 목동의 작은아들 잡에 사셨답니다. “두 분이 싸우셨나요?” 할아버지께 물었습니다. 그게 아니라 며느리끼리 싸웠답니다. 큰 며느리가 “다 같은 며느리인데 나만 부모를 모실 수가 없다”고 강경하게 나오는 바람에, 공평하게 양쪽 집에서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한 분씩 모시기로 했답니다. 그래서 두 분은 일주일에 한 번 씩 견우와 직녀처럼 서로 만난 거랍니다. 그러다가 할머니가 먼저 돌아가셨답니다. “이제 나만 죽으면 돼, 우리는 또 다시 천국에선 같이 살 수 있겠지...” 할아버지는 중얼거리며 창밖으로 시선을 던졌습니다. 할아버지 뺨에는 눈물이 주르륵 흐르고 있었습니다. (인터넷에서 퍼옴)
'효도에 관한 좋은 문장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17세기 수녀의 기도 (0) | 2022.09.05 |
---|---|
답장 없는 편지 (0) | 2022.09.02 |
부모에 대한 자녀의 의무 (0) | 2022.08.31 |
왕상의 효 (0) | 2022.08.30 |
코로나 시대의 효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