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경의 효
“무릇 효도는 덕의 근본이다. 모든 가르침이 여기에서 시작된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효란 하늘의 불변의 원리이며, 땅의 올바른 길이며, 백성들의 행할 행위이다.” (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신체는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훼상하지 않음이 효의 시작이며, 입신하여 도를 행하고 이름을 후세에 날려 이것으로써 부모를 빛나게 하는 것이 효의 완성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어버이를 사랑하는 자는 감히 남을 미워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공경하는 자는 감히 남을 업신여기지 못하니, 사랑과 공경을 다하여 제 어버이를 섬기면 덕교德敎가 온 백성에게까지 미쳐서 사해에 모범이 되니, 이것이 천자天子의 효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윗자리에 있으면서 남에게 교만하지 아니하면 지위가 높아도 위태롭지 않고, 욕망을 제어하고 법도를 삼가하여 지키면 권세가 차도 넘치지 않는다. 지위가 높아도 위태롭지 않으면 그것으로써 오래도록 귀함을 지키게 될 것이요, 권세가 차도 넘치지 않으면 그것으로써 오래도록 부를 지키게 될 것이다. 이렇듯 부귀가 그 몸에서 떠나지 않게 된 연후에 사직을 보전하고, 백성을 화평하게 할 수 있으니, 이것이 제후諸侯의 효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선왕의 법복法服이 아니면 감히 입지 않고, 선왕의 법언法言이 아니면 감히 말하지 않고, 선왕의 덕행이 아니면 감히 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법이 아니면 말하지 않고, 도가 아니면 행하지 않으며, 이로써 입으로 말을 선택하지 않으면 몸으로 행동을 선택하지 않게 된다. 말이 천하에 가득 차더라도 그 입에 과실이 없고, 행동이 천하에 가득 차더라도 원망과 증오가 없게 된다. 이 삼자가 갖추어진 연후에야 그 녹위를 보전하고 그 종묘를 수호할 수 있으니, 이것이 경대부卿大夫의 효도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아버지를 섬기는 것을 기준 삼아 어머니를 섬기면 그 사랑하는 마음이 같을 것이고, 아버지를 섬기는 것을 기준 삼아 임금을 섬기면 그 공경하는 마음이 같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머니를 섬기는 데는 사랑하는 마음을 취하고, 임금을 섬기는 데는 공경하는 마음을 취하니, 이 두 가지를 겸한 것이 아버지이다. 그러므로 효로써 임금을 섬기면 충이 되는 것이고, 제悌로써 어른을 섬기면 곧 순順이 되는 것이다. 충과 순을 잃지 않고 윗사람을 섬긴 연후에야 작록을 보존하고 제사를 지키게 될 것이니, 이것이 선비(사士)의 효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하늘의 도리와 계절의 때를 잘 맞추고 땅을 잘 활용하여 농사지어 생산성을 높이고, 몸가짐과 행동을 신중하게 하고 재물을 절약하고 씀씀이를 아껴서 부모를 잘 봉양하는, 이것이 서인庶人의 효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부모를 섬기는 자가 자기 부모를 사랑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패덕悖德이고, 자기 부모를 공경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을 공경하는 것은 패례悖禮가 된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효자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서 평소 슬하에 있을 때는 그 공경하는 마음을 다하고, 봉양함에 있어서는 부모가 즐거움을 다하도록 하고, 부모가 병이 나셨을 때는 근심을 다하도록 하고, 부모가 돌아가시면 슬픔을 다하도록 하고, 제사에 있어서는 엄숙한 마음을 다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다섯 가지가 갖추어진 연후에야 부모를 잘 섬겼다고 말할 수 있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부모를 섬기는 자는 윗자리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고, 남의 밑에 있어도 질서를 어지럽히지 않고, 같은 무리 중에 있어도 다투지 않는다.” (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옛날에 천자는 간쟁하는 신하 일곱을 두면 비록 자신이 무도하다 하더라도 천하를 잃지 않았고, 제후는 간쟁하는 신하 다섯만 두면 비록 자신이 무도하다 하더라도 나라를 잃지 않았으며, 대부는 간쟁하는 신하 셋만 두면 비록 자신이 무도하다 하더라도 가정을 잃지 않았다. 선비에게 간쟁하는 벗이 있으면 그 몸에서 명성이 떠나지 않을 것이며, 아버지에게 간쟁하는 자식이 있으면 그 몸이 불의에 빠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아버지가 불의한 일을 하였을 때는 자식으로서 아버지를 간쟁하지 않을 수 없다. 아버지의 명령만 따른다고 효도는 아니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
“효자가 부모상을 당하면 곡소리가 그치지 않으며, 사람 앞에서 예를 함부로 하지 않으며, 말을 번잡스럽게 하지 않고, 고운 옷을 입으면 오히려 불안하고, 음악을 들어도 도리어 즐겁지 않으며,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입에 달지 않다. 이것은 슬퍼하고 서러워하는 정 때문이다.”(효경』에 나온 효에 관한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