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론

8. 심리학적 인간론

이효범 2022. 1. 9. 11:12

4장 심리학적 인간론

 

8. 심리학적 인간론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그들의 인생을 의식적으로 통제한다.

건강한 사람은 항상 이성적으로는 아니더라도 의식적으로

자기 행동을 지시하고 자신의 운명에 책임을 질 수 있다.

듀에인 슐츠 Duane Schultz

 

8-1. 현대 심리학의 다섯 가지 흐름

 

인간을 한층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현대 심리학을 다섯 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의 심리학은 정신 역동 이론(Psychodynamic Theory)으로서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하는 정신분석학이나 융을 중심으로 하는 분석심리학이 이에 포함한다. 여기서는 주로 인간의 무의식의 세계를 파헤치고, 인간을 본능과 초자아에 갇혀 있는 것으로 본다. 이것들이 충돌하여 갈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 갈등을 중재하는 자아自我가 강하면 정신적으로 강하고, 그렇지 못하면 병리 현상이 일어난다.

2의 심리학은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Behaviorism)이다. 여기서는 인간을 무기체적 존재로 취급하면서, 개인의 성격을 관습들의 체계로 본다. 이런 관습은 강화强化 받은 행동에 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강화 즉 조건화에 의하여 인간의 행동, 관습, 성격을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행동주의의 대표적 인물로는 스키너B. F. Skinner와 반두라A. Bandura 등이 있다.

3의 심리학은 매슬로우A. Maslow나 로저스Carl R. Rogers 등을 중심으로 하는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과 프랭클Viktor Frankl 등의 실존주의 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이다. 이들은 인간에 대해 기계론적이거나 환원론적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고,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질을 강조한다. 이들은 인간이 종족이나 개인으로서 고유하다고 주장하면서, 개인의 성격이 표준화된 특질이나 조건 반응으로 환원될 수 없다고 본다. 인간은 외부의 힘이나 무의식적인 충동, 과거의 조건화 등에 의해 통제됨이 없이 자기 자신의 행위를 선택할 자유가 있다. 그리고 이들은 인간에 관한 연구 방법에서도 연구 대상인 개인의 사고, 느낌, 의도를 무시하고 밖으로부터 관찰하는 연구 방법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들은 연구 문제를 선정할 때 방법 중심의 객관성보다는 문제 중심의 의미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는 과거의 심리학자들이 객관적 방법론이나 엄격한 실험 설계에 관심을 쏟느라고 연구가 지닌 의미성을 상실했기 때문에, 개인의 자기실현이나 사회 문제 해결에 공헌하지 못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본주의자들은 인간의 가치 및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잠재력 계발에 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4의 심리학은 1960년대에 나타나기 시작한 초월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이다. 초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우주적 삶의 원리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관성을 연구하며, 인간의 최고의 욕구이자 경지인 자기 초월의 경지를 인정하고 수용하며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이 추구하는 초월의 경지는 우주 의식과의 동일화이며, 생사를 포함한 모든 것에 대한 집착성의 탈동일화脫同一化이다.

5의 심리학은 다윈의 진화론에 기반한 진화심리학(Evolutionary Psychology)이다. 진화심리학은 표준사회과학모델과 사회생물학의 한계를 넘어서 인간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진화심리학은 인지혁명의 계산주의와 진화생물학의 적응주의를 결합시킨다. 진화심리학에서 보는 인간의 마음은, 수렵채집인이었던 우리 조상들이 진화적 적응의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 선택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다.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에서 살던 우리 조상들이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는 매우 다양하고 특수하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은 다양하고 특수한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알맞도록 기능적으로 전문화되었다.

 

더 읽을거리

 

김성태, ?성숙인격론?, 고대출판부, 1982.

Erich Fromm, 진덕규 역, ?인간은 파괴적 동물인가?(), 전망, 1978.

James F. Brennan, 홍대식 역, ?심리학의 역사와 체계?, 박영사, 1988.

Richard S. Lazarus, 서봉연 역, ?성격과 적응?, 익문사, 1973.

Robert D. Nye, 이영만유병관 역, ?프로이트, 스키너, 로져스?, 중앙적성출판사, 1993.